운영 과정
-
연수 유형 분포
(비율기준 - 연수시간)
-
연수 분야
교수학습 32% 생활교육 10% 진로·진학 1% 조직관리 4% 정책이해 4% 행정일반 2% 정보기술 8% 인문소양 14% 미분류(기타) 20%
운영/과정명 | 차시 | 계획인원 | 신청인원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
---|---|---|---|---|---|---|
집합 |
2024년 상호존중 학교문화조성 직무연수 |
15 | 40 | 0 | 23.12.04 ~ 23.12.11 | 24.01.30 ~ 24.02.01 |
집합 |
2024년 울산 미래교육 리더 직무연수 |
60 | 40 | 5 | 23.11.29 ~ 23.12.06 | 24.01.02 ~ 24.01.12 |
운영/과정명 | 차시 | 계획인원 | 신청인원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
---|---|---|---|---|---|---|
집합 |
2024년 상호존중 학교문화조성 직무연수 |
15 | 40 | 0 | 23.12.04 ~ 23.12.11 | 24.01.30 ~ 24.02.01 |
집합 |
2024년 울산 미래교육 리더 직무연수 |
60 | 40 | 5 | 23.11.29 ~ 23.12.06 | 24.01.02 ~ 24.01.12 |
운영/과정명 | 차시 | 계획인원 | 신청인원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
---|---|---|---|---|---|---|
혼합과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운영/과정명 | 차시 | 계획인원 | 신청인원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
---|---|---|---|---|---|---|
화상과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운영/과정명 | 차시 | 계획인원 | 신청인원 | 신청기간 | 교육기간 | |
---|---|---|---|---|---|---|
원격과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운영/과정명 | 재생시간 | 구분 | 시작일자 | 종료일자 | ||
---|---|---|---|---|---|---|
마이크로러닝 과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인기 과정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1.17
교육기간23.03.20 ~ 23.11.24
차시정보 1차시
( 교원: 1시간 , 교원 외: 1시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2,206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1.28
교육기간23.03.20 ~ 23.11.28
차시정보 1차시
( 교원: 1시간 , 교원 외: 1시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1,457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1.17
교육기간23.03.20 ~ 23.11.24
차시정보 4차시
( 교원: 1시간 40분 , 교원 외: 1시간 40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1,095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1.17
교육기간23.03.20 ~ 23.11.24
차시정보 8차시
( 교원: 4시간 52분 , 교원 외: 4시간 52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1,036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0.11
교육기간23.03.20 ~ 23.11.24
차시정보 4차시
( 교원: 4시간 , 교원 외: 4시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874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20 ~ 23.11.17
교육기간23.03.20 ~ 23.11.24
차시정보 5차시
( 교원: 5시간 , 교원 외: 5시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843 / 99,999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3.03.20 ~ 23.11.28
교육기간23.03.20 ~ 23.11.28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3.03.20 ~ 23.11.28
교육기간23.03.20 ~ 23.11.28
차시정보 1차시
( 교원: 1시간 , 교원 외: 1시간 )교육대상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학교직원,
강의만족도
586 / 99,999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15 ~ 23.11.23
교육기간23.03.15 ~ 23.11.30
차시정보 2차시
( 교원: 2시간 , 교원 외: 2시간 )교육대상유치원, 초등, 중등, 특수 등
강의만족도
445 / 99,999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3.06.22 ~ 23.11.29
교육기간23.06.22 ~ 23.11.30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7시간 43분 )교육대상교원, 교육전문직,
강의만족도
371 / 500
-
원격과정 (상시)
법정의무관심 아이콘신청기간23.03.15 ~ 23.11.28
교육기간23.03.15 ~ 23.11.30
차시정보 3차시
( 교원: 3시간 , 교원 외: 3시간 )교육대상유치원, 초등, 중등, 특수 등
강의만족도
290 / 99,999
추천 과정
-
집합과정
신청기간22.03.21 ~ 22.04.15
교육기간22.03.21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15시간 )교육대상,기간제교원, 중등교원
강의만족도
70 / 10,000
-
집합과정
신청기간23.01.24 ~ 23.01.27
교육기간23.02.08 ~ 23.02.10
차시정보 16차시
( 교원: 16시간 , 교원 외: 16시간 )교육대상, 교육공무직원(교육실무직원), 교육전문직원, 기간제교원 등
강의만족도
42 / 39 ( 대기 / 10 )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2.09.19 ~ 22.11.30
교육기간22.09.1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8시간 6분 )교육대상, 교육공무직원(교육실무직원), 교육전문직원, 기간제교원 등
강의만족도
34 / 50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2.09.19 ~ 22.11.30
교육기간22.09.1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30시간 , 교원 외: 6시간 21분 )교육대상,교육공무직원(교육실무직원), 일반직
강의만족도
29 / 50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2.09.19 ~ 22.11.30
교육기간22.09.1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7시간 1분 )교육대상, 교육공무직원(교육실무직원), 방과후강사, 일반국민 등
강의만족도
22 / 50
-
집합과정
신청기간22.03.21 ~ 22.04.16
교육기간22.03.21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15시간 )교육대상,기간제교원, 초등교원
강의만족도
15 / 10,000
-
집합과정
신청기간22.08.29 ~ 22.09.08
교육기간22.08.2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15시간 )교육대상, 기간제교원, 유치원교원, 중등교원 등
강의만족도
14 / 10,000
-
원격과정 (상시)
신청기간22.09.19 ~ 22.11.30
교육기간22.09.1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6시간 1분 )교육대상, 교육공무직원(교육실무직원), 방과후강사, 일반국민 등
강의만족도
12 / 50
-
집합과정
신청기간22.08.29 ~ 22.09.08
교육기간22.08.29 ~ 22.12.09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 교원 외: 15시간 )교육대상,기간제교원, 초등교원
강의만족도
10 / 10,000
신규 과정
-
집합과정
신청기간23.12.04 ~ 23.12.11
교육기간24.01.30 ~ 24.02.01
차시정보 15차시
( 교원: 15시간 )교육대상교원, 교육전문직,
강의만족도
0 / 40 ( 대기 / 10 )
-
집합과정
신청기간23.11.24 ~ 23.12.06
교육기간23.02.22 ~ 23.11.21
차시정보 5차시
( 교원: 5시간 )교육대상교원, 교육전문직,
강의만족도
56 / 100
-
집합과정
신청기간23.11.29 ~ 23.12.06
교육기간24.01.02 ~ 24.01.12
차시정보 60차시
( 교원: 60시간 )교육대상유치원, 초등, 중등, 특수 등
강의만족도
5 / 40 ( 대기 / 10 )
-
혼합과정
신청기간24.01.23 ~ 24.01.25
교육기간24.02.01 ~ 24.02.07
차시정보 30차시
( 교원: 30시간 , 교원 외: 30시간 )교육대상교원, 교육전문직, 일반직 공무원, 공무직 등
강의만족도
0 / 80
-
집합과정
신청기간23.12.11 ~ 23.12.14
교육기간24.01.15 ~ 24.01.19
차시정보 34차시
( 교원: 34시간 , 교원 외: 34시간 )교육대상교원, 교육전문직,
강의만족도
0 / 290
연수원 소식
도서명: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저자: 댄 애리얼리 / 출판사: 청림출판내용부제: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끌리는가! 우리는 일상에서 자잘한 부정행위를 얼마쯤은 저지르며 산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자신이 그런대로 착한 사람이라 믿으며 이 정도 속임수는 괜찮다고 스스로를 합리화한다. 살아가면서 마주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한 진실이 담겨 있다. 저자는 이런 현상을 입증할 다양한 실험 사례와 연구 자료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저자는 시각장애인과 일반인 실험 진행자로 하여금 택시를 타게 해 운전사들의 대응 방법을 살폈다. 실험 결과, 택시 운전사들은 일반인에게 일부러 길을 돌아가는 부정행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저질렀다. 마음만 먹으면 시각장애인에게 훨씬 더 쉽게 부정행위를 저지를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택시 운전사들은 시각장애인을 속이는 것에 더 큰 죄의식과 저항감을 느꼈던 것이다. 크고 작은 부정행위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경제성’이 아니라 ‘도덕성’을 기준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오늘날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자신들이 근본적으로 선하다고 믿는 경향이 강하다. ‘착한 사람’ 개념에 의지해 살아가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도덕적인 이미지와 이기적인 여러 욕망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애쓴다. 자신의 전반적인 삶에서 스스로가 꽤 훌륭하고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 아주 조금의 부정행위는 너그럽게 허용하고 만다. 착한 사람이 도덕적인 완벽함을 추구하지 않는 것은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100퍼센트 완벽하게 다이어트 식단을 따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착한 사람’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합리화와 자기기만이 선을 넘어서지 않도록 관리하는 일이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절대로 선함 그 자체를 목표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선하다는 것은 너무도 모호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정직함 혹은 올바름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사람들은 대개 자기 자신의 도덕적인 행동을 올바르게 판단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내면이 아닌 외면 혹은 사회적인 규범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우리가 착한 사람이 되고자 도덕적인 차원에서 계산을 하려 할 때면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이것은 충분히 선한가? 사소하게 도덕을 위반하는 이런 행동은 우리의 본성에 비춰볼때 참신하고 현실적인가, 아니면 그저 그렇게 평범한 모습인가?”
도서명: 바른 마음저자: 조너선 하이트 / 출판사: 웅진지식하우스내용부제: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옮음은 왜 다른가! 이 시대 중요한 문제들은 모두 옮음과 옮음의 싸움이 될 것이다.인간 본성은 본래 도덕적이기도 하지만, 도덕적인 체하고 비판과 판단도 잘한다는 뜻을 전하기 위해서 책의 제목을 ‘바른 마음’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세상에는 다양한 정치적 이념, 종교적 믿음, 사회적 가치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중 자신이 선택한 것이 ‘가장 옳다’고 믿는다. 그 ‘옳음’을 위해 집단을 이루고, 행동하며, 심지어 삶의 모든 것을 바치기도 한다. 저자 조너선 하이트는 도덕 심리학의 선구자로 인간의 도덕심이 무엇이며, 개인이나 공동체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정치와 종교 등 사회적 문제에서 어떻게 갈등을 양산하는지 여러 실험과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사람들이 극과 극으로 나뉘는 상황들을 지켜보며,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도록 동료 연구자들과 ‘도덕성 기반 이론’을 세웠다.도덕적 공통 기반 5가지(배려/피해, 공평성/부정, 충성심/배신, 귄위/전복, 고귀함/추함)에 추가 된 기반(자유/압제)으로 나누며, 사람들은 각자의 유전적 성질, 주변환경, 국가에 따른 규약, 경험 등에 따라 도덕적 기반의 우선순위가 변화하며 이것으로 인해 사람들이 나뉘게 된다. 바른 마음은 철저히 이기적이며 전략적으로, 합리적 사고에 근거하여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먼저 결정하고 이후 결정에 맞는 근거를 찾아내어 이 결정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로 합리적으로 사고한다는 기존의 믿음과 배치되는 파격적인 주장이다. 나와 다른 생각이나 이해하지 못하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 대해 도덕적 결정을 하는 옮음의 방향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머리가 아닌 가슴을 먼저 열고 귀를 기울이면 어느 한쪽은 옮고 한쪽은 그르다는 이분법을 떠나 서로를 더 존중하는 건설적인 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상대편을 이해하고 싶다면, 그쪽에서 신성시하는 것을 따라가 보면 된다.(p.550)'
공공재정 운용의 건전성과 투명성 제고 및 제도의 이해를 위한 공공재정환수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입니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국민권익위원회 블러그(보조금 등 공공재정,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로 이동합니다.https://blog.naver.com/loveacrc/223119908621 ※ 공공재정환수법(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 공공재정에 대한 부정청구 등을 금지하고, 부정청구 등으로 얻은 이익의 환수·관리 체계를 확립함으로 공공재정 운영의건전성과 투명을 제고하기 위한 법
20230년 2차 개정된 연수원 규정입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개정 규정1. 울산광역시교육연수원 운영 규정: 제13조 이수기준의 구체적 명시2. 연수 평가 관리 규정: [별표3] 효율적인 연수 운영을 위한 기준 제시 간소화